본문 바로가기
돈돈돈 - 건강한 삶을 위한 수단/태산프로젝트

환율을 이용한 실전 달러사고팔기-모바일 2021년7월-1

by stocking 2021. 7. 12.
반응형

7월2일

최근에 환율에 관한 큰 이슈가 없는 것 같은데 우리는 매일 1원이라도 벌어야 하므로

지속적으로 사고팔기를 해보자.

 

오전 9시 15분 기준환율이 1135원이다.

1131.07원에 매수한 200불을 1132.81원에 매도를 하였다. 환차익은 1,74원 (목표 2원에는 부족하다)

1.74 * 200불 = 348원을 벌었다.

윽 아메리카노 한잔 값도 벌지를 못했으니 오늘은 마시지 말아야 하는데 ^^

이것을 2000불을 매수를 했다면 3480원이다.

 

현재 하나은행을 이용하는데 하나은행 모바일 환전의 1일 최대금액이 10,000불이니 우리는 5000불 

단위를 최대치로 계산을 해서 두번 구매하고 파는 것으로 하면 될 것 같다.

 

1.74원 * 5000불 = 8700원 --> 점심값은 버는 것이다.

이렇게 티끌을 모아서 태산을 만들면 된다. 

 

전문가들의 예상을 보면 미국의 고용시장이 안정이 되고 태이퍼링 논의가 지속되면 달러강세가

지속되어 1150까지 갈 수 있다고 예측을 하고 있다.

 

현재 환전지갑에 1134.78원에 매수한 200달러만 있다.  이것은 오르면 팔기로 하고

오늘도 1원이라도 벌어야 하므로 기준환율이 1135원 시점에 매수가 맞는 것인지 판단을 해보자.

 

9시30분 현재 달러를 매수하려면 (현찰을 매수하는 것이니 기준환율과는 차이가 있음) 1136.38원이다.

(모바일 환전은 90% 우대를 받으므로 큰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즉 수수료를 조금 낸다) 

 

미국의 실업급여 신청건수가 줄어들고 있어서 이를 미국의 경제회복의 신호라고 판단하고 달러강세를

보여서 오늘 소폭 상승하는 중이라고 한다.

 

월말 수출업체들의 매도수요도 없고 전문가들이 오르는 것에 비중을 두니 심리적으로도 오른다로

매수를 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 같다.

나는 전문가들의 말데로 일단 매수를 해보기로 한다.

 

1135.78원으로 500불을 매수를 했다.  목표는 2원이다. 1137.78원 이상이면 매도를 하기로 한다.

 

달러인덱스를 보니 92.642 이다. 높은편이다.  

 

7월5일

오늘은 환율이 많이 떨어져서 현재 1130.1원 하네요

심리적인 영향은 일단 배제하고 오늘 환율이 떨어지는 (원화강세/달러약세) 원인은 찾아보면서

오늘 환율공부를 하겠습니다.

 

일단 환율이 떨어져서 매수를 해보겠습니다.

1132.97원에 500불을 매수합니다.  현재 3건을 가지고 있는데 오늘 매수한 것이 가장 싸게 매수를 했으니

조기에 매도를 할 가능성이 이게 높습니다.

 

일단 오늘 환율하락 (원화강세/달러약세) 을 전문가들이 분석한 것을 보면

미국의 비농업 부문 고용지표가 호조를 보였는데 6월실업률(5.9%)이 시장 전망치를 웃돌면서

FED(미연방준비제도/연준)의 조기 긴축 우려감이 줄어서 그런다고 나옵니다.

 

환율이 떨어지는 달러매수 (수입업체) 수요가 있어서 환율하락이 많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처럼 환율은 계속 등락을 거듭하면서 생명을 이어갑니다. 즉 완전히 폭등하거나 완전히 가치가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오늘 분석을 보니 아직 시장에서 돈을 거두어 들이지 않는다는 것 입니다. 그럼 달러가 시장에 풍부하니 

달러는 약세를 보입니다. (파란색은 제 부연입니다 ^^ 전문가는 아니니 잘못된 설명은 지적바랍니다)

환율을 공부하다보니 갑자기 심리학이 공부를 하고 싶어집니다. 심리적인 요소가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 같습니다.

 

7월7일 

어제는 (7월6일) 큰 이유가 없는 것 같아서 글을 적지는 않았습니다.

지금 환율이 조금 오른 것 같습니다. 추이를 지켜보다가 

1132.97원 매수한 것을 매도를 해보겠습니다.  매수한 것에서 기준환율이 4원 이상 차이가 나면

목표한 2원 정도가 차익으로 남습니다. (환율수수료/스프레드 때문에 발생합니다)

 

1136.97 이상이 되면 매도시점이라는 것 입니다. (개인은 자신이 정한 목표차익을 실현하시면 될 것 입니다)

전 매일 1원이라도 벌어서 태산을 만들자가 목표라 2원을 정했습니다 ^^

 

방금 1132.97 에 매수한 것은 1135.01 에 매도를 하였습니다. 차익은 2.04원 입니다. 목표를 달성했네요 ^^

500불이니 헉 1,020원 벌었습니다. 돈 벌기 어렵죠? 이런 작은 돈들을 소중하게 여기시기 바랍니다.

돈을 모으셔서 5000불이면 10,200원 , 50,000불 이면 102,000원을 버신 것 입니다.

 

환율은 계속 변하는 특성이 있으니 계속 매일 수익을 내실려면 10번 정도 나누어서 매수를 해서

적정한 목표수익에 판매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1139.19원에 추가 500불 매수를 했습니다. --> 달러가 계속 오를 것으로 생각하고 매수를 한 것 입니다.

오르지 않으면 계속 오를때까지 가지고 있으면 됩니다 ^^ . 여기서 필요한 것이 여유자금이어야 가능하다는

것 입니다.

 

1134.78 에 매수했던 200불을 1136.9 에 매도를 했습니다. 차익은 2.12원

2.12 * 200불 = 424원 돈 벌기 힘듭니다 ^^

빨리 이게 2만불씩 사고팔면 ^^

 

7월8일

오전9시에 일단 환율이 오르면서 출발을 하네요

실전투자를 할시에는 10번정도 매수를 해 놓은 것이 있어야 매일 꾸준히 수익을 낼 수 있는데

저는 지금 1135.78 과 1139.19에 매수를 한 두건만 있습니다. 

 

1135.78이 제 목표수익 2원을 넘어서 매도를 할 가능성이 높네요

방금 1139 에 500불 매도를 했습니다. 환차익은 3.22원

오늘은 제법 차이가 나서 1610원을 벌었습니다 ^^

5000불을 매도를 했다고 가정을 하면 16100원 두끼 식사값은 번 것이 되네요 

 

저는 1140이상은 당분간 매수를 안할려고 합니다.  1140에 매수를 하면 기준환율이 1144는 되어야

매도를 할 수 있는데 전문가들은 1150정도를 최근의 환율상승 최고점으로 보는 것 같습니다.

 

IMF시기인 1997년 12월에서 1998년 1월 사이에 환율이 2000 까지 간적이 있고 (이때 달러를 가지고 계신 분들은

막대한 돈을 버시었을 것 입니다. 1997년 초에 환율은 860원 정도 이있읍니다. 거의 두배이상을...)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2009년 3월 1500정도 까지 오른 것을 제외 하고는 환율은

1050원에서 1200원 사이를 등락하면서 생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런 예측치 않은 사건이 터지지 않은 이상 환율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움직이는 것 같습니다

2023년에 테이퍼링 (양적완화의 점진적 축소)을 한다고 하니 한번 기대를 해보고 달러를 많이 매수를 

해놓을것인지는 개인의 판단에 맡깁니다 ^^

 

오늘 뉴스를 보니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의사록(FOMC회의) 에서 여러 의견이 자산매입 (국채나 MBS 매입으로 달러 통화량을 증가시킴/시장에 돈을 푼다는 의미) 규모를 축소할 여건이 일찍 충족될것이라는 것 입니다. 그러나 절차를 서두르지는 않겠다고 합니다. 

기사를 읽어보면 항시 애매모호 합니다. 즉 , 환율은 신도 맞추기 어렵다고 하듯이 아무도 확정적으로 예측을 안하는 것 입니다. 안하는 것이 해서 틀린 것 보다는 나으니까요 ^^ 결국은 개인은 뉴스를 참조하고 스스로 판단해야 합니다.

 

 

1139.19에 매수한 것을 1142.49에 매도를 했습니다 . 환차익은 3.3원 입니다. 500불 매도를 했으니 1650원 벌었습니다 ^^

 

저는 실전으로 이렇게 하면 된다는 것을 보여드리는 것이니 실제 금액은 여러분들이 조정하시기 바랍니다.

5만불정도 (5천만원 정도?) 로 하시면 10번 나누어서 매수를 한다고 보면 매번 4000불 정도를 매수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하나은행 하루 모바일환전이 만불까지 입니다.  (매입 매도금액 합산) 

 

금액이 더 커지시면 인터넷뱅킹을 같이 하셔야 한다고 하는데 인터넷뱅킹은 수수료가 비쌉니다.

그중에 국민은행이 만불이상이면 모바일처럼 90% 우대를 해준다고 하니 나중에 체크를 해보겠습니다.

 

7월9일

 

어제 환율이 많이 인상(달러강세/원화약세) 되었습니다. 오늘 고시환율이 발표되기 전에 매수를 할 것인지를

결정을 해야 합니다.

최근에 전문가들이 예상하던 상향점이 1150원인데 이것은 이미 넘은 것 같고

달러지수를 보면 92.368 로 최근에 비교해보면 높은 편은 아니다. 즉 달러의 가치상승 등의 요인으로 환율이

상승한 것이 아니고 코로나변이의 확산으로 불안한 심리가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달러수요를 높여서

환율이 인상된 것 같습니다.(아래 보시면 달러인상요인 3번입니다)

 

그렇다면 이것은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으니 환율은 다시 내려갈 (달러지수에 근접) 가능성이 있습니다.

오늘 매수는 안하고 추이를 보겠습니다.

 

오전에 환율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아마도 코로나확산의 심리적 요인으로 어제 충분히 환율이 인상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미국 달러지수가 92.370으로 조금 올랐습니다. 보통의 상황이면 미국달러지수를 따라서 환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데 오늘 지켜보죠

 

오후3시30분 현재 달러지수가 92.523으로 더 높아지었습니다. 특별한 이슈가 없으면 환율은 등락을 거듭하다가

어제와 비슷한 가격을 보일 수도 있겠네요

 

 

 

 

 

 

복습입니다

환율인상은 달러강세, 원화약세 이것을 항시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환율인상의 요인은 하나씩 정리해보겠습니다.

  1. 미국금리인상 :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한국에 투자된 돈들이 안전하고 이자를 많이 주는 미국으로 간다는 이야기 입니다. 그러다 보니 한국 주식에 투자한 돈을 팔아서 (달러수요증가 -달러강세) 주식은 하락합니다.  일단 미연준이 2023년 부터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는데 전문가들은 표를 던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부터 달러를 많이 모아서 미국금리가 상승하는 시기에 달러를 팔아서 환차익을 만들 수 있을 것 입니다.
  2. 테이퍼링 (tapering) : 영어 단어인데 최근에 아주 많이 나오는 단어죠? 그냥 간단하게 시중에 돈을 서서히 덜 풀겠다는 것입니다 (일종의 양적완화정책의 점진적 축소).  직접 자산매입을 통해서 시중에 돈을 풀었는데 서서히 자산매입을 줄여서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을 조절하겠다는 것 입니다.  양적완화는 경기부양을 위해서 사용을 하는데 이것을 축소하겠다는 것은 경기회복에 자신감이 있다는 이야기일 것 입니다.  달러 유통량이 줄어드니 당연히 달러 값은 오르는 달러강세가 되어서 환율은 인상을 합니다.
  3. 심리적인 불안정으로 안전자산(달러) 선호. : 예를 들면 코로나 델타변이의 확산으로 사람들이 불안하니 상대적으로 안전한 달러를 구매를 하니 달려수요가 늘어서 달러가 강세 (환율상승)를 띈다는 것 입니다.
  4. 국내금리 인하 : 금리를 인하하면 외국자본이 기존에 은행에 있던 돈을 달러로 바꾸어서 (달러수요증가) 미국이나 기타 금리가 더 좋은 국가로 이동하려고 합니다. 달러수요가 증가하므로 달러는 강세이고 원화는 약세로 환율은 인상이 됩니다.  최근에 한국은행이 선제적으로 금년내로 금리를 인상한다고 한다는 기사를 보신 것은 있으시죠?  이 이야기는 미연준이 2023년 부터 금리를 인상한다고 하니 우리는 미리 금리를 올려서 환율인상요인을 어느정도 선제적으로 차단한다는 이야기입니다.

환율을 이용해서 돈을 버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가능하면 환율에 대한 개념도 읽힐겸해서

모바일로 환전해서 1원이라도 수익을 내는 것 부터 한계단 한계단 밟는 것이 좋을 것 입니다.

저도 하나씩 실전으로 하면서 언급을 해보겠습니다

 

  1. 모바일, 인터넷뱅킹을 통한 환차익 실현 : 지금 하고 있는 것 입니다
  2. FX 마진거래 : 개인이 브로커를 통해서 직접 외환거래를(외국통화끼리) 하는 장외 현물거래시장. 개시 증거금이 1만불이 필요하고 레버리지가 10배가 된다고 하니 일단 실전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3. 통화 ETF : 주식처럼 증권거래소에서 사고팔수 있는 환율방향성지수에 투자하는 것 입니다. 소액거래가 가능하니 다음번에는 이것을 해보기로 하겠습니다.
  4. 통화선물 : 추후에 자세히 실전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증거금이 낮고 레버리지가 40~50배가 되는 고수익 고위험 투자입니다.

개인은 일단 모바일, 인터넷뱅킹으로 환차익을 보고 3번 통화 ETF정도를 해보시면서 충분한 공부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글이 너무 길어지니 7월 12일 부터는 새로운 장에서 공부를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