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여행/책

환율과 금리로 보는 앞으로 3년 경제전쟁의 미래

by stocking 2021. 6. 28.
반응형

오늘 교보문고에서 산 책이고 환율과 관련된 주제를 보고 샀다.
차분히 읽기로 한다.

6월9일 

오늘 부터 이 책을 읽기로 한다. 그런데 내일 도보여행 대장정이 있어서 일단 가까운 책꽂이 두는 것으로

만족하고 내일부터 읽는 것으로 하자.

 

자기전에 잠깐 읽어보려고 보는데 출판일이 2019년이다. 아마 코로나라는 세계적 대변동을 예측하지 못하고

이 책을 출간했을 것 같다. 그래도 환율과 금리를 보는 시각은 비슷할 것 같으니 정독을 하는데

이 책은 일단 조금씩 시간을 가지고 보기로 한다. 

6월25일

책을 사놓기만 하고 이제야 읽기 시작하네요

일단 5장으로 구성된 목차부터 보겠습니다. 2019년 책이니 3년 미래면 지금 시점으로 맞추어서 읽을 수 있겠네요

 

1장 일본의 추락

2장 IMF 외환위기와 한국 경제 체질 변화

3장 유럽 재정위기

4장 중국의 부채위기

5장 미국 및 글로벌 금융 시장의 흐름과 미래

부록 환율과 금리의 기초

 

저는 부록과 5장 부터 읽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일단 이 책을 읽는 목적은 환율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것 입니다.

 

중앙은행(우리는 한국은행)이 정책적으로 정하는 금리를 정책금리 혹은 기준금리라고 합니다. 이 기준금리가 환율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기준금리가 내리면 시중에 돈이 풀리므로 시장금리는 내리고 채권가격은 오릅니다.

채권은 고정금리인데 시장금리가 내리니 채권을 사려는 사람들이 많아져서 채권 가격이 오르는 것 입니다.

 

다 아시는 것이지만 한번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원화강세 = 달러약세 = 환율하락 --> 원화공급이 부족(경제성장으로 외국인들의 투자수요 증가) 하거나 달러공급이 많음 (무역흑자), 한국은행 금리인상 (원화수요 상승), 국제사회의 환율하락 압력.

 

원화약세 = 달러강세 = 환율상승 --> 원화공급이 많고 달러공급이 부족(무역적자), 미국금리인상(달러수요 증가), 외국인 자본유출(한화 주식이나 채권을 매도/ 달러수요증가), 당국의 외환시장 개입.

 

 

 

 

 

반응형

'문화여행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면혁명  (0) 2021.07.04
뱃살 빼기 15분  (0) 2021.06.28
환율상식사전  (0) 2021.06.24
적게자도 괜찮습니다 --독서1회완료  (0) 2021.06.19
환율도 모르고 경제 공부할 뻔했다  (0) 2021.06.18